대법원 2022. 8. 30. 선고 2018다212610 전원합의체 판결 〔손해배상(기)

페이지 정보

본문

2022. 8. 30. 선고 2018다212610 전원합의체 판결 〔손해배상(기)〕 ·

구 국가안전과 공공질서의 수호를 위한 대통령긴급조치(긴급조치 제9호)의 발 령․적용․집행으로 강제수사를 받거나 유죄판결을 선고받고 복역함으로써 개별 국민이 입은 손해에 대하여 국가배상책임이 인정되는지 여부(적극)

[다수의견] 보통 일반의 공무원을 표준으로 공무원이 직무를 집행하면서 객관적 주의의무를 소홀히 하고 그로 말미암아 그 직무행위가 객관적 정당성을 잃었다 고 볼 수 있는 때에 국가배상법 제2조가 정한 국가배상책임이 성립할 수 있다. 공무원의 직무행위가 객관적 정당성을 잃었는지는 행위의 양태와 목적, 피해자의 관여 여부와 정도, 침해된 이익의 종류와 손해의 정도 등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 판단하되, 손해의 전보책임을 국가가 부담할 만한 실질적 이유가 있는지도 살펴 보아야 한다. 구 국가안전과 공공질서의 수호를 위한 대통령긴급조치(1975. 5. 13. 대통령긴 급조치 제9호, 이하 ‘긴급조치 제9호’라고 한다)는 위헌⋅무효임이 명백하고 긴급 조치 제9호 발령으로 인한 국민의 기본권 침해는 그에 따른 강제수사와 공소제 기, 유죄판결의 선고를 통하여 현실화되었다. 이러한 경우 긴급조치 제9호의 발 령부터 적용⋅집행에 이르는 일련의 국가작용은, 전체적으로 보아 공무원이 직무 를 집행하면서 객관적 주의의무를 소홀히 하여 그 직무행위가 객관적 정당성을 7 2022. 10. 15. 판례공보 - 10 - 상실한 것으로서 위법하다고 평가되고, 긴급조치 제9호의 적용⋅집행으로 강제수 사를 받거나 유죄판결을 선고받고 복역함으로써 개별 국민이 입은 손해에 대해 서는 국가배상책임이 인정될 수 있다.

[대법관 김재형의 별개의견] 긴급조치 제9호의 발령⋅적용⋅집행은 공무원의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한 불법행위로서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에 따른 국가배상 책임이 인정되고, 대통령의 긴급조치 제9호 발령행위에 대해서 대통령이 국민에 대한 정치적 책임을 질 뿐 법적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대법원 2015. 3. 26. 선고 2012다48824 판결은 변경되어야 한다. 이때 긴급조치 제9호에 따라 수사와 재판, 그리고 그 집행으로 발생한 손해도 상당한 인과관계가 있는 손해로서 손해배상 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법관의 재판작용으로 인한 국가 배상책임을 독자적으로 인정할 필요는 없고, 위와 같이 재판으로 인해 발생한 손 해를 배상하도록 하는 것이 법관의 재판작용으로 인한 국가배상책임을 엄격히 제한하는 판례와 모순되지 않는다. [대법관 안철상의 별개의견] 헌법 제29조의 국가배상청구권은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으로서 국가와 개인의 관계를 규율하는 공권이고, 국가가 공무원 개인의 불법행위에 대한 대위책임이 아니라 국가 자신의 불법행위에 대하여 직접 책임 을 부담하는 자기책임으로 국가배상책임을 이해하는 것이 법치국가 원칙에 부합 한다. 국가배상을 자기책임으로 이해하는 이상 국가배상책임의 성립 요건인 공무원 의 고의⋅과실에는 공무원 개인의 고의⋅과실뿐만 아니라 공무원의 공적 직무수 행상 과실, 즉 국가의 직무상 과실이 포함된다고 보는 것이 국가배상법을 헌법합 치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이다. [대법관 김선수, 대법관 오경미의 별개의견] 긴급조치 제9호는 대통령이 국가 원수로서 발령하고 행정부의 수반으로서 집행한 것이므로, 대통령의 국가긴급권 행사로서 이루어진 긴급조치 제9호의 발령과 강제수사 및 공소제기라는 불가분 적인 일련의 국가작용은 대통령의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한 위법한 직무행위로서 국가배상책임이 인정된다. 긴급조치 제9호에 대한 위헌성의 심사 없이 이를 적용하여 유죄판결을 선고한 법관의 재판상 직무행위는 대통령의 위법한 직무행위와 구별되는 독립적인 불법 행위로서 국가배상책임을 구성하고, 이를 대통령의 국가긴급권 행사와 그 집행에 포섭된 일련의 국가작용으로 평가할 수는 없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Login